● 吉林朝鲜文报-吉林省委朝鲜文机关报
● 国内统一刊号: CN22-0030 邮发代号: 11-13
길림신문 > 문화문학

서하왕조 유적 서하릉,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주동      발표시간: 2025-07-14 13:23       출처: 新华社 选择字号【

드론으로 찍은 ‘서하릉(西夏陵)’ 3호릉

6월 11일, 유네스코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 회의에서 중국의 ‘서하릉(西夏陵)’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됐다. 이로써 중국의 세계문화유산은 60개로 늘었다.

서하릉은 11~13세기 당항(党项)족이 중국 서북지역에 세운 서하(西夏)왕조의 릉묘 유적군이다. 서하릉은 녕하회족자치구 은천시에 위치하며 하란산 산맥의 남단 동쪽 기슭에 자리 잡고 있다.

드론으로 내려다본 서하릉 3호릉

서하릉박물관에 전시된 서하릉 출토 유물 '가릉빈가(迦陵頻伽)'

분포면적은 약 40평방키로메터에 달하며 9개의 제왕릉원, 271개의 배장묘(陪葬墓)와 5.03헥타르 규모의 건축 유적지, 32개의 홍수방지 시설 유적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곳은 첩첩이 둘러싸인 하란산의 봉우리들과 어우러져 웅장하고 위엄 있는 릉묘 경관을 이루고 있다.

서하릉은 서하왕조가 남긴 유적 가운데 현존한 유적들중 규모가 가장 크고 등급이 가장 높으며 보존 상태가 가장 완벽한 고고학 유적이다. 이는 중국 력사에서 약 200년간 이어진 서하왕조와 그 군주 계보(谱系)를 립증하는 유일무이한 증거이자 실크로드에서 중계 거점(中继枢纽)으로서의 서하왕조 지위를 증명한다.

또한 서하릉은 오늘날까지 진실하고 온전하게 보존돼 중화문명의 다원적 통합 구조와 통일된 다민족 국가 형성 과정을 밝히는 중요한 증거를 제공한다. 이에 서하릉은 세계 문명사에 있어 대체 불가능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는 평가이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서하릉의 공간 배치, 설계 리념, 건축 양식이 당·송시대의 릉묘 제도를 계승하면서도 불교 신앙과 당상족의 풍습이 융합돼 독특한 신앙 및 장례 전통을 형성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11~13세기 서하왕조가 실크로드의 문화와 상업 교류에서 지녔던 독특한 위상을 잘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신화넷



编辑:안상근


추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