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전 열린 ‘제7회 중국천진국제헬리콥터박람회’에 우리 나라의 범용 항공 및 저고도 경제 분야의 신기술·신제품이 집중적으로 전시돼 관심을 끌었다.
지난해 저고도 경제는 처음으로 정부사업보고에 포함되였다. 중국민용항공국은 올해 우리 나라 저고도 경제 시장 규모가 1조 5,000억원에 달하고 오는 2035년에는 3조 5,00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이번 박람회는 5,000평방메터 규모의 저고도경제관을 신설하여 관련 산업의 과학기술 발전과 협력을 촉진하는 무대로 떠올랐다.
“명령어를 입력하면 드론이 설계된 경로에 따라 자동으로 순찰한다. 또 인공지능(AI) 식별 기술을 통해 차량 불법행위 모니터링, 산불 식별, 해상 시추 플래트홈의 원유 류출 모니터링 등 다양한 씨나리오에 응용될 수 있다.”
드론기업 봉소항우(蜂巢航宇) 관계자는 스마트 드론 공항을 가리키며 신제품은 최대 2시간 비행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박람회 한켠에서는 7인승 대형 전동수직리착륙기(eVTOL)에 이목이 집중됐다. 의료구조 시장의 수요에 맞춰 설계된 이 제품의 최대 리륙 중량은 3,180키로그람, 최대 항속거리는 300키로메터에 달한다. 또한 도심항공교통(UAM), 화물운송 등에도 응용이 가능하다.
관련 전문가는 저고도 경제가 드론, eVTOL, AI, 5G/6G 통신 등 신기술과 융합하여 UAM, 드론물류, 항공관광, 응급구조 등 다양한 신업종을 만들어내고 있다고 전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향후 우리 나라는 헬리콥터와 범용 항공기, eVTOL, 드론 등 다양한 항공기가 분업·협력, 상호 보완하는 발전 체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신화넷
编辑:최승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