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순희
《길림신문》 을 떠올리면 신문사 편집기자들의 따뜻한 도움의 손길이 떠오르면서 마음이 한없이 따뜻해진다.
2018년 7월, 가슴 아픈 비보가 날아들었다. 지난세기 70년대에 길림대학을 졸업하시고 안도현 복흥중학교에서 우리들에게 화학과를 가르쳤던 김계순선생님이 돌아 가신 것이였다. 김계순선생님은 길림성 특급교원이며 전국우수교사이다. 선생님은 연박한 지식으로 우리에게 지식을 전수해준 동시에 공부를 잘하게끔 이끌어 주신 좋은 선생님이였다. 선생님과 2년동안 함께 한 학창생활에서 나와 동창생들은 선생님과 두터운 정을 쌓았다. 솔직히 말해 선생님은 우리 학생들의 우상이시였다.
이런 선생님이 돌아 가셨다니 우리들의 마음은 슬프고 안타깝기 그지 없었다. 선생님의 생전 모습이 눈앞에 선했다. 언제나 생글생글 웃으시며 학생들을 대하던 선생님, 재미있게 강의하여 공부하기 싫어하던 학생들도 선생님 시간에는 도정신해서 강의를 잘 듣던 모습... 학생들을 친동생처럼 아껴주던 선생님을 진짜 잊을 수 없었다.
고통속에서 모대기던 나는 추모의 마음을 적어 신문에 발표하고 싶었다. 그런데 신문에 발표할만한 수준높은 글은 누구나 다 쓰는 것이 아니였다. 전에도 나는 글읽기는 좋아 했지만 글쓸 생각은 엄두도 내지 못했다. 그런데 선생님이 사망하신후에는 그리운 마음에 글쓰고 싶은 충동을 억제 할 방법이 없었다.
30여년간 한족학교에서 교학을 해온 나는 서툰 글솜씨였지만 용기를 내서 선생님을 추모하는 글을 쓰려고 필을 들었다. 그런데 생각처럼 되지 않았다. 생각은 뻔한데 글을 조직하려니 뜻대로 되지 않았다. 한줄 써놓고는 다음줄을 잇지 못했다. 생각던 끝에 나는 편집기자들의 도움을 받기로 마음 먹었다. 그래서 렴치불구하고 《길림신문》 사를 찾아 갔는데 나를 맞아준 기자가 바로 김청수선생님이였다. 긴장되고 부끄러운 심정으로 내 생각을 선생님에게 알리고 채 완성하지 못한 어수선한 글을 조심조심 꺼내 놓았다. 그런데 생각밖에 김청수선생님은 까근히 읽어 보시고 보귀한 건의와 구체적인 지도를 하는 동시에 작고한 선생님을 잊지 못해 하는 나를 ‘훌륭한 학생’이라고 칭찬까지 하시는 것이였다. 그래서 두근두근하던 나의 마음도 다소 안정되는 듯했다.
선생님의 지도와 도움으로 2019년 4월2일 청명절을 맞으면서 《길림신문》 제4면에 <초불처럼 살다 간 김계순선생님을 그리며>라는 나의 추모글이 실렸다. 신문과 더불어 인터넷 길림신문에까지 발표되였는데 전국 각지는 물론 세계 각지에 널려있는 은사님의 제자들로부터 많은 공명을 불러 일으켰으며 은사님을 추모하는 열기가 일어났다. 특히 김계순선생님의 남편이고 우리반 반주임이시였던 리석재선생님은 매우 감동되여 하시였다.
사람이 늙으면 추억속에 산다더니 나이가 들면서 자연히 옛생각에 잠길때가 많다. 70년대 농촌중학교의 간고한 환경속에서도 초불처럼 자신을 불태우며 학생들을 인도하고 배워주시던 선생님들을 잊을 수 없었다. 2022년도에 나는 선생님들에 대한 존경의 마음을 담은 글 한편을 써서 《길림신문》 사에 보냈는데 그때는 홍옥선생님이 글을 편집하시였다. 홍옥선생님 역시 김청수선생님과 마찬가지로 열정적인 분이였다. 전문적인 글짓기를 배우지 못하고 쓴 글인지라 서툴기 그지 없었지만 홍선생님은 여러번나와 전화로 소통하고 수개 의견을 말씀해 주셨다. 그해 9월13일 홍옥선생님의 도움으로 <그 때 그 시절 그 학교 초불같은 선생님들>을 제목으로 한 나의 글이 《길림신문》 에 발표되였다. 이 글이 나에게 또 한번 기쁨을 갖다 줄 줄이야! 《길림신문》 은 지면으로 된 신문도 좋지만 인터넷 길림신문의 영향력도 매우 컸다. 장춘에서 사업하는 옛 복흥중학교 출신의 학생이 이 글에서 정치선생님이시였던 백병룡선생님의 사적을 보고 선생님의 친척에게 글을 보내였고 그 친척이 또 백병룡선생님에게 내가 쓴 글을 전해드렸다. 전혀 생각밖에 48년전에 가르쳤던 제자가 선생님을 그리는 글을 본 80세를 넘은 백병룡선생님은 매우 기뻐하시면서 나를 수소문 하시였다. 덕분에 나와 선생님은 지금까지 매일 위챗으로 련계하고 있다.
올해 로인절을 맞이하게 되니 작고하시 아버지가 그리워 나며 저도몰래 옛 추억에 잠기게 되였다. 나는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을 글을 써서 《길림신문》 사에 보냈는데 이번에는 유경봉선생님이 글을 받았다. 유경봉선생님도 열정적이고 세심한 분이시였다. 구체적인 수자로 나의 문장을 분석해 주시는 것이였다. 선생님의 분석수자를 보니 나절로도 너무 기막히고 부끄러웠다. 무조건 퇴짜라는 생각을 했는데 문장 소재가 좋으니 잘 수개하면 될 것 같다고 위안해주시는 것이였다. 여러번 전화 련계를 가진 후 선생님은 나에게 수개한 글을 보내왔는데 내가 쓴 글과 대비해보니 부족점이 선명하게 알렸다.
유경봉선생님과 편집기자들의 심혈이 듬뿍 담긴 <로인절을 맞아 더 그리운 아버지의 말없는 사랑> 이란 제목의 글은 8월15일 로인절날 인터넷에 먼저 발표되였고 8월19일자 《길림신문》 지면에도 발표되였는데 독자들의 호평을 받았다.
2019년부터 올해까지 김청수, 홍옥, 유경봉 등 3명의 《길림신문》 편집기자들의 따뜻한 도움을 받아 내가 쓴 글들이 볕을 보았는데 편집선생님들의 손을 거치면 엉망이 던 글도 멋진 작품으로 변신하군 했다. 《길림신문》 사 편집기자들의 따뜻한 도움의 손길이 마음을 따뜻히 덥혀주고 나에게 글쓸 용기와 힘을 북돋아 주었다. 이는 독자들을 아끼고 사랑하는 《길림신문》 사의 우량한 전통이며 풍격이지 않을가 싶다. 나는 더 좋은 글을 써서 《길림신문》 에 보답하고 싶다.
编辑:안상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