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림 ‘전통’ 양걸 기예 전승인 고굉길의 이야기
길림시무형문화유산체험관에서 고굉길은 오늘도 동북의 전통양걸(老秧歌)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수건을 손에 잡은 그는 노래 가락에 맞춰 몸을 흔든다. 그의 동작은 느리지만 박력이 있었고 모든 동작은 박자에 맞춰진다.
"양걸춤은 몸을 비틀며 추는 것이고 또한 노래하며 추는 것이다." 동북 ‘전통양걸’의 문화의 뿌리를 찾고저 고굉길은 동북지역의 여러 현성과 향진을 찾아다니며 현지조사를 했다. 이 흑토지의 문예 유전자를 잘 발굴하고 보호하는 것이 그의 바람이였다.
49세의 고굉길은 동북양걸창대판(秧歌唱大板) 길림시급 무형문화유산 기예의 전승인이다. 그는 대판이라는 이 도구와 관련된 노래가락(唱腔)과 공연 형식은 동북 양걸춤의 중요한 요소라고 말한다. 대판은 리듬을 쳐내는 기능 외에도 설구(说口)의 반주로 되기도 해 음악과 가사가 없이도 단독으로 무대에 등장할 수 있다.
동북지역에 대고(大鼓), 새납(唢呐) 등 악기가 부족했던 시절에 대판 반주는 양걸춤대오에서 리듬을 장악하는 ‘령혼’으로 되여 세세세대 전승되였다.
고굉길은 지금의 동북 양걸을 ‘신파 양걸(新派秧歌)’로 비유했다. 신파양걸이 무용, 건신체조, 류행음악 등 요소를 융합시키면서 대판은 양걸 무대에서 물러났다.
“내가 하는 일은 전통 기예를 남기는 일이다.”
송화강변에서 로앙가를 추고있는 사람들(차영국 찍음)
고굉길은 무형문화유산체험관의 일상관리사업을 책임지고 있다. 많은 동북양걸 애호가와 관광객들이 그에게서 전통양걸의 기법과 지식을 배웠다. 체험관에 몇명의 양걸애호가들이 찾아오자 그는 무반주로 대판을 치며 노래를 불렀다. 구성지고 나즈막한 노래가락은 무시로 관중들의 박수를 받았다.
일부 관중들은 근처 양걸팀의 주력성원으로서 고굉길은 아주 익숙하다. 길림시 도시구역에는 수십개의 양걸팀이 활약하고 있으며 고굉길은 늘 그들과 함께하고 있다. 흥이 나면 그는 고수(鼓手)의 자리를 “쟁탈”하고는 북 리듬으로 대오를 지휘하기도 한다.
"고선생은 양걸을 위해 많은 심혈을 기울였다." 라고 말하는 장욱은 대형 양걸팀의 책임자로서 늘 고굉길을 초청하여 팀의 활동에 참가하게 했다. 고굉길은 료녕, 흑룡강 등지의 시골에 가서 조사를 한 후 장욱과 길림지역의 양걸과의 차이에 대해 담론하군 했다.
두사람을 기쁘게 한 것은 동북 양걸이 지금도 여전히 왕성한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Z세대’, 중년들이 끊임없이 양걸 대오에 합류하고 있는데 인터넷에 익숙한 젊은이들은 생방송, 짧은 동영상 등 형식을 통해 이 예술을 광범하게 전파하며 끊임없이 열기를 올리고 있다.
최근 몇년 동안 전통 문예의 발전 부흥과 더불어 고굉길은 빈번히 초청을 받아 업계 전문가와 학자들과 얼굴을 맞대고 교류할 기회가 생겼다. "내 책임은 동북 양걸의 력사를 잘 발굴하고 보호하는 것이다."라고 고굉길은 말한다.
/송화강넷
编辑:유경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