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05版:생활·건강 上一版 下一版  
上一篇 下一篇

확진 사례 2,000건 돌파, 중요 공지

7월 21일, 광동 불산시 순덕구위생건강국이 발표한 데 따르면 7월 20일까지 순덕구에서 총 2,158건의 치쿤구니야열(基孔肯雅热) 확진 사례가 보고되였는데 주로 락충진, 북교진, 진촌진에 집중되였으며 모두 경증환자이다.

치쿤구니야열은 치쿤구니야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전염병으로 주로 애급숲모기(伊蚊, 몸에 흑백 무늬가 있는 ‘꽃모기’)를 통해 전파되며 모든 년령대에서 감염 가능성이 있다.

▩ 전형적인 증상(잠복기 1~ 12일, 일반적으로 3~7일)

갑작스러운 고열: 체온이 39도, 심지어 40도 이상으로 빠르게 오르고 고열이 지속되며 내리지 않는다. 일부 환자는 열이 내린 후 다시 발열(이중발열)할 수 있다. 전체 발열 기간은 상대적으로 짧다.

심한 관절통: 이동성을 나타내며 손, 손목, 발목, 발가락 등 작은 관절에 많이 영향을 미치고 무릎, 어깨 등 큰 관절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중 손목 관절의 압박 통증이 전형적인 특징이다.

발진 증상: 발병 2~5일후 환자의 80%가 몸, 사지, 손바닥, 발바닥 및 얼굴에 발진, 구진 또는 자반이 생기며 일부는 가려움을 동반한다.

기타 증상: 두통, 메스꺼움, 구토, 식욕 부진, 복통 등 소화기 증상이 동반할 수 있으며 광선공포증, 결막 충혈 또는 출혈, 근육통, 피로 등이 나타날 수 있다.

▩ 치료 원칙

증상에 맞는 지원 치료를 위주로 한다.

기초 간호: 물을 많이 마시고 충분한 휴식을 취해야 한다.

증상 완화: 체온이 38도를 초과하면 파라세타몰(아세트아미노펜)로 열을 내리고 관절통은 정도에 따라 진통제를 사용하되 아스피린 및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사용은 피해야 한다(출혈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음).

진료 안내: 발열, 관절통, 발진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특히 해외 체류 경력이 있는 사람은 즉시 정규적인 병원을 찾아 려행 경력과 모기에 물린 사실을 적극적으로 알려야 한다. 조기 개입을 통해 불편함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인민넷-조문판

版权所有 ©2023 吉林朝鲜文报- 吉ICP备07004427号
中国互联网举报中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