녕하 오충계기회사 마옥산(马玉山, 왼쪽) 전임 회장이 자동화산업원실험실에서 기술자와 교류하고 있다. /신화넷
민영경제가 중국식 현대화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넣으며 고품질 발전의 중요한 기반이 되고 있다.
중국의 민영경제는 이미 상당한 규모를 형성하여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관련 통계에 따르면 민영기업은 전체 기업의 92%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국가 첨단기술기업중 민영기업은 42만여개로 역시 92%를 넘어섰다.
다수의 민영기업은 본업에 집중하고 산업 기반을 강화하며 민영경제의 고품질 발전을 뒤받침하고 있다.
지난 1959년 설립, 1998년 상장에 성공한 녕하 오충(吴忠)계기회사는 60여년간 제어밸브(控制阀) ‘한우물’만 파왔다. 오충계기회사 수석 엔지니어 왕학붕(王学朋)은 “상장후 물·전기 계량기 등 분야를 무분별하게 따라하다 보니 본업인 제어밸브 분야에서의 핵심경쟁력이 약해지고 시장 점유률도 점점 잃어갔다.”고 말했다.
마옥산(马玉山) 전임 회장은 “치렬한 경쟁 속에서 잘하는 분야만이 쉽게 대체될 수 없다는 것을 알았다.”면서 “문제점을 파악한 후에는 제어밸브에만 집중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이제 오충계기회사는 300만대(세트) 이상의 장비를 출하하고 자체 핵심기술 부족으로 외부에 의존하는 수십개의 공정을 극복하며 제어밸브를 기반으로 전정특신(专精特新, 전문화·정밀화·특색화·참신화) ‘소거인(小巨人)기업’으로 성장했다.
중화전국공상업련합회가 발표한 ‘2024 중국 민영기업 500대 기업’에 따르면 이중 제조업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66.4%에 달해 3년 련속 증가세를 보였다.
민영기업은 본업을 지키면서도 핵심기술을 기반으로 핵심경쟁력을 키웠다.
광주 명락(明珞)장비회사의 성장사는 혁신으로 기업을 키운 발전사라 할 수 있다.
차체 총조립 시스템은 자동차 용접 생산라인의 최고 핵심 단계로서 여기서 문제가 발생하면 페기률과 제조 비용이 늘어난다. 때문에 중국 자동차 제조 기업은 오래동안 해외 업체에 의존해왔다.
명락장비회사는 끊임없는 기술 개발과 ‘저렴한 가격’ 전략으로 자체 연구개발한 시스템을 출시했고 결국 북경자동차(BAIC), 지리(吉利)자동차 등 다수 중국 기업의 호평을 받았다.
이제 명락장비회사의 총조립 시스템은 3세대까지 업그레이드되고 미국, 독일, 일본 등 전통 자동차 제조 강국으로 수출되고 있다.
이들 민영기업의 발전 뒤에는 정부 정책과 제도가 든든히 뒤받침하고 있다.
대련 제일상호인덕터(互感器)회사는 중국 상호인덕터 분야의 선도기업중 하나다. 청년인재 유치를 위해 회사는 멘토링 육성 모델을 도입하여 인재 보조금 제도를 시행했다. 이와 더불어 정부 지원을 받아 료녕성급 기업기술쎈터와 대련시급 신뢰성 연구공정실험실을 설립하여 기술 인재를 유치함으로써 상호인덕터 연구개발과 보급에 집중할 수 있었다.
정부 써비스 역시 끊임없이 보완되면서 민영기업의 발전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서곡(瑞谷)과학기술(대련)회사 직원 오세걸(吴世杰)은 “기업의 등록 변경, 세무 등록 등 업무 처리에서 관련 플래트홈을 리용하면 한번의 신청으로 끝난다.”면서 “덕분에 기업은 정밀 베아 링 연구개발과 제조에 더 많은 힘을 쏟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중국은 지난달 〈중화인민공화국민영경제촉진법〉을 시행하면서 본업에 충실하고 실제 업무를 강하게 키우는 민영기업에 법률적 보장을 제공하고 있다.
공업정보화부 관계자는 써비스 보장을 계속해서 강화하고 량호한 상업 환경을 조성하여 많은 기업가가 본업을 고수하고 실제 업무와 자주혁신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신화넷
编辑:최승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