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05版:생활·건강 上一版 下一版  
上一篇 下一篇

근시 도수 600도 넘으면 눈병 위험 급증

많은 사람들은 근시가 있다면 도수와는 상관없이 안구 질환 위험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모를 것이다. 특히 망막열공, 망막박리, 맥락막신생혈관 등이 대표적이다.

도수가 낮을수록 위험이 적다. 중저도 근시(600도 미만)일 경우 상대적으로 안전하지만 600도를 넘으면 위험도가 급격히 높아진다.

■ 왜 600도가 기준인가?

근시 도수는 안구 길이와 직접 련관된다. 600도 근시일 경우 안구 길이가 정상인 22~24미리메터에서 26미리메터 이상으로 길어지게 된다.

풍선이 커질수록 터지기 쉬운 것처럼 안구 벽(망막·맥락막)이 얇아지면서 파렬 위험이 급증하는 것이다. 600도는 바로 이런 ‘안구 위험 림계점’이다.

■ 고도 근시(600도 이상)의 위험성

● 록내장 발병 위험이 50% 증가한다.

● 백내장 수술 필요성이 17% 높아진다.

● 망막박리 발생률이 5~6배 상승한다.

● 최악의 경우 실명까지 이를 수 있다.

■ 중요한 사실

근시교정수술(라식·라섹)은 시력만 개선할 뿐 이미 변형된 안구 구조를 복원하지는 못한다. 즉 수술후에도 고도 근시의 위험성은 그대로이다.

■ 전문가 권고

고도 근시일 경우 반드시 1년에 한번씩 안저검사를 받아야 한다. 이를 통해 안구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여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인민넷-조문판

版权所有 ©2023 吉林朝鲜文报- 吉ICP备07004427号
中国互联网举报中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