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02版:경제 上一版 下一版  
上一篇 下一篇

젊은층 금 소비시장 주축으로 급부상

결혼 준비에 한창인 왕학영(26세)의 필수 쇼핑 목록에는 금장신구가 포함돼있다.

그는 “장신구, 보석류의 디자인이 더욱 세련되고 고급스러워졌으며 특히 통화팽창(인플레이션)에 대비한 구매력 보존에 금이 도움이 되기 때문에 금을 사는 것이 습관처럼 돼버렸다.”고 말했다.

과거 우리 나라 청년들은 금을 구식으로 여기고 한때 다이아몬드 등 다른 보석에 눈을 돌렸지만 최근 다시 귀금속에 관심을 보이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황금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시장에서 금 소비량이 전년 동기 대비 8.78% 늘면서 1,090톤에 육박했다.

한편 전체 금 소비자의 16%를 차지했던 25~34세 청년층이 지난해 59%로 확대되면서 금 소비시장의 주축으로 떠올랐다. 중국황금협회는 앞으로는 25세 미만의 소비자들이 금 소비를 주도할 것으로 전망했다.

심양시취화금은쥬얼리회사 직영부 총괄매니저는 “소비자의 대부분이 25~35세 사이의 젊은층으로 그 수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근 몇년 동안 금값이 계속 상승하면서 재테크의 한 형태로 금을 구매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고 설명을 덧붙이기도 했다.

이에 일부 전문가 또한 많은 청년층이 요즘 금을 주택이나 주식 대신 투자할 수 있는 대안으로 여긴다는 견해에 동의를 표하기도 했다.

상해금거래소의 데이터에 따르면 AU99.99의 금가격이 지난 5월 20일 오후 그람당 578원을 기록하며 최고치를 갱신했다. 금가격 변동에 따라 한번에 1,000~2,000원 상당의 금을 정기적으로 구매한다. 전문가는 또 젊은층에 인기 있는 금콩(콩 모양 금제품)을 언급하며 “어려서 돼지저금통에 동전을 넣던 것과 같이 지금은 예금처럼 금콩을 모으는 젊은층이 늘어나는 추세이다.”고 말했다.

특히 금콩은 가공 비용이 저렴해 쥬얼리로도 쉽게 만들 수 있다고 관계자들은 설명했다. 진주, 다이아몬드 등이 세팅된 유명 브랜드 쥬얼리를 선호했던 북경 시민 강설(29세)은 지난 몇년 사이에 금으로 방향을 선회했다고 했다. 수리를 위해 금목걸이를 쇼핑몰에 가져간 그는 “그람당 500원을 주고 샀던 목걸이의 재판매 가격이 그람당 540원에 달한다는 사실에 깜짝 놀랐다.”고 말했다.

젊은이들 사이에서 ‘금 열풍’이 일어난 또 다른 리유는 금 쥬얼리와 제품의 달라진 디자인 때문이기도 하다.

중국공상은행은 해리포터를 테마로 금 제품 디자인을 출시해 팬들의 관심을 샀고 유명 쥬얼리기업 주대복은 디즈니와 헬로키티 등 만화캐릭터 이미지를 제품에 적용했다. 그 밖에 ‘행운의 비즈’ 팔찌도 사회적으로 압박감을 느끼는 년령대인 젊은층에 홍보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요즘 소셜미디어(SNS)가 젊은층에게 새로운 검색 수단으로 작용하면서 금의 대중화 상품 이미지 구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했다.

/신화사

版权所有 ©2023 吉林朝鲜文报- 吉ICP备07004427号
中国互联网举报中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