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봉길의사의 손녀 윤주경은 10일 상해 홍구 로신공원내 윤봉길의사 생애 전시관이 있는 매원을 찾았다. 그는 “할아버지를 기리기 위해 오래동안 다양한 지원을 해준 중국정부에 매우 감사하다.”고 말했다.
여섯해 만에 다시 이곳을 찾은 윤주경은 전시관을 살펴보고 휴대폰으로 사진을 찍으며 “전시판과 현판이 새로 바뀌였네!”라고 소감을 전했다.
“상해의 변화가 이렇게 클 줄 몰랐다. 앞으로 상해의 발전 전망이 매우 밝아보인다.”
1994년 4월 27일, 홍구는 윤봉길 의사의 호인 ‘매헌’을 따라 로신공원 안에 한국식 정자 매정을 세우고 매화를 심었다. 같은 해 7월에는 매원 담장을 완성하고 첫 조경 작업을 진행했다. 1998년에는 매정 앞에 ‘윤봉길 의거 현장’ 기념비를 세웠다.
2004년에는 한국측의 지원으로 매정에 윤봉길의사 생애 전시관이 만들어졌다. 여기에는 70여점의 력사사진, 모형 그리고 쏘련 기자가 찍은 영상자료 등이 전시되여있다. 2005년부터 매년 4월 29일 매원에서는 매헌윤봉길의사기념사업회와 홍구국제교류쎈터에서 주최하고 한국 국가보훈부에서 주관하는 기념식이 열리고 있다.
현재 매원 윤봉길의사 생애 전시관은 한국 사람들이 항일영웅의 정신을 기리는 중요한 장소로 자리잡았다.
이번 방문에서 윤주경은 할아버지 동상 앞에 남긴 중한 량국 언어로 된 많은 메시지를 보며 많은 사람들이 여전히 할아버지의 의거를 기억하고 있음을 깊이 느꼈다.
2004년부터 이곳에서 일하며 방문객들에게 한국어로 ‘홍구공원 의거’를 설명해온 관리자 정락은 “지금은 해마다 약 2만명의 한국 관광객들이 매원을 찾아 윤봉길의사를 기리고 있다.”고 말했다.
윤주경은 이렇게 말했다. “력사는 잊혀져서는 안된다. 우리가 여러 기념관을 세우는 것은 바로 력사를 기억하기 위함이고 과거가 우리 앞길을 비추는 거울이 되게 하기 위함이다. 할아버지를 기리는 이 ‘매헌’이 이 력사를 기억하는 중요한 상징이 되길 바란다.” /신화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