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05版:생활·건강 上一版 下一版  
上一篇 下一篇

코골이 고치는 입안 운동·수면 습관

젊었을 때는 코를 골지 않던 사람이 나이가 들면서 코를 고는 경우가 많다. 코골이는 코가 아닌 혀와 코의 뒤쪽 구강 인두에서 나는 소리이다. 입안과 후두 사이 목 부위를 말한다. 혀의 뒤쪽, 연구개, 편도, 인두벽 등으로 구성돼있다.

코를 골면 숨이 구강 인두에서 맴돌아 산소가 페로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뇌 산소 공급 감소를 초래할 수 있기에 반드시 개선해야 한다.

나이가 들면서 구강 인두 근육이 위축되고 움직임이 느려진다. 혀 기저부는 중력에 의해 더 쉽게 아래로 처져 구강 인두를 좁게 만든다. 주변 조직 탄력도 떨어져 공기와류에 진동이 심해진다. 코골이의 주요 원인이다.

구강 인두 형태는 자다가 숨이 멎는 수면무호흡증과 밀접하게 련관돼있다. 턱이 작아도 수면무호흡증을 유발할 수 있다. 턱이 작고 뒤로 밀려있으면 자로 코끝과 웃입술을 대였을 때 턱이 자에 닿지 않는다. 이 경우 수면무호흡증 발생 위험이 크다.

코를 골지 않고 구강 인두를 건강하게 유지하려면 관리와 입안 운동이 필수이다. 혀끝으로 웃이몸 뒤쪽 경구개와 입천장을 강하게 누르는 운동을 권한다. 이는 혀 기저부가 뒤로 처지는 것을 막아준다. 물 한모금 머금고 천천히 넘기는 것도 좋다. 다양한 모음 발음을 천천히 하면 구강 인두 주변 근육과 구성물이 골고루 움직이며 탄력을 갖는다.

잘 때는 입을 벌리지 말고 코로 숨 쉬여야 한다. 옆으로 누워 자면 혀와 목젖이 옆으로 밀리면서 구강 인두가 넓어져 코골이가 준다. 구강 인두 주변은 지방이 잘 축적되는 부위이고 지방 축적 자체는 기도 페쇄 위험을 높일 수 있다. 적정 체중을 유지해야 코골이가 예방되고 개선된다. 코를 곤다는 건 단순한 수면 문제가 아니라 구강 인두 로화 신호이다. 평소 부지런히 혀와 입안을 움직이자. /종합

版权所有 ©2023 吉林朝鲜文报- 吉ICP备07004427号
中国互联网举报中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