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05版:생활·건강 上一版 下一版  
下一篇

몸의 위험한 점은 어떻게 생겼나?

‘ABCDE법칙’ 기억하기!

많은 사람들은 몸에 점이 있지만 오래동안 아프지 않고 간지럽지 않기 때문에 이를 대수롭지 않게 여긴다. 그러나 일부 점은 잘못된 곳에 자라거나 잘못 처리되면 심각한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몸의 위험한 점은 어떻게 생겼을가? ‘ABCDE법칙’을 기억하기 바란다!

A (Asymmetry 비대칭)

정상적인 점은 일반적으로 상하 좌우가 대칭되지만 ‘위험한’ 점은 모양이 불규칙하여 량쪽이 뚜렷하게 차이가 날 수 있다. 한쪽은 원형, 다른 쪽은 타원형, 또는 한쪽은 색상이 짙고 다른 쪽은 옅은 경우 비대칭 표현에 속한다.

B (Border 경계 모호)

정상적인 점은 경계가 명확하고 깔끔한 반면 ‘위험한’ 점은 경계가 흐릿하며 톱이 모양이나 지도 모양으로 뚜렷한 불규칙성을 보인다. 톱이 모양의 경계는 점세포가 피부내에서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발생할 수 있는바 이러한 형태의 점은 주의가 필요하며 제때에 검사해야 한다.

C (Color 색상 불균일)

정상적인 점은 색상이 균일한데 대부분 단일한 검은색 또는 갈색을 띤다. 반면 ‘위험한’ 점은 색상이 혼잡한데 검은색, 갈색, 빨간색 등 여러가지 색상이 동시에 나타날 수 있다. 색상의 불균일은 점세포 속 멜라닌 함량의 불균형 또는 점세포의 변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변화는 점이 비정상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D (Diameter 직경 과다)

직경이 6미리메터 이상인 점은 더 큰 점으로 악화될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물론 6미리메터 이상의 점이 모두 악성인 것은 아니므로 정기적으로 변화를 관찰해야 한다.

E (Evolution 변화)

점의 크기, 색상, 형태 등이 갑자기 변할 경우, 례를 들면 단기간에 급격히 커지거나 색상이 짙어지거나 옅어지거나 표면에 궤양이 생기는 등은 모두 악화의 징후일 수 있다. 점의 변천은 그 내부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거나 변성되였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러한 변화는 높은 관심을 불러일으켜야 하며 제때에 진료를 받는 것이 관건이다. /인민넷-조문판

版权所有 ©2023 吉林朝鲜文报- 吉ICP备07004427号
中国互联网举报中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