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04版:과학 上一版 下一版  
上一篇 下一篇

우리 나라, 세계 최초 6G 통신·지능·감지 융합 시험망 구축

AI제작

“슝…” 드론이 시험장을 리륙하자마자 멀지 않은 실험실 컴퓨터 화면에 드론의 위치, 속도, 고도 정보가 실시간으로 표시되였다. 이는 최근 가동을 시작한 세계 최초 6G 통신·지능·감지 융합 외부 시험망에서 펼쳐진 장면이다.

이 시험망은 자금산실험실팀의 연구하에 구축되였다. 자금산실험실 부연구원 후화주는 “이 실험망은 RF 유닛(射频单元),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基带处理单元), 감지 데이터 처리 유닛(感知数据处理单元)으로 구성되며 6G 비셀룰러 통신(6G无蜂窝通信), 분산형 협업 감지(分布式协作感知), 실시간 지능 계산(实时智能计算) 등 핵심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고 설명했다. 6G 기지국이 통신을 수행할 때 전자파 반사를 통해 1키로메터 거리내 드론의 운동 궤적과 상태 정보를 포착함으로써 6G 시스템의 감지 능력을 검증한다는 것이다.

총면적 1.75만평방키로메터의 이 시험장에서는 통신―감지 통합, 통신―지능 통합, 범접근성 네트워크(泛在接入), 대규모 련결, 초저지연 고신뢰성 통신(超低时延高可靠通信), 몰입형 통신(沉浸式通信) 등 6G의 6가지 핵심 응용 장면을 테스트중이다. 현재까지 이 기술은 국제적으로 5G에 대비해 10∼100배 향상된 극한 련결 성능과 미리초 단위 실시간 지능 처리, 데시메터 수준의 정밀 감지 능력 등을 구현하며 전반적인 기술 지표가 세계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다.

현재 해당 시험망은 저고도 보안(低空安防) 테스트를 진행중이다. 후화주연구원은 “드론이 시험구역에 진입하면 미리메터파 통신―감지 일체화 장비가 이를 감지하고 반사된 전자파 신호를 지능 분석해 드론의 궤적과 위치·속도·고도 등을 실시간 추적한다.”며 “현재 단일 섹터(扇区)의 감지 범위는 1평방키로메터에 달하고 최대 500메터의 고도까지 감지 가능하며 탐지 가능한 드론의 레이다 반사 체적은 최소 0.01평방메터 수준까지 도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이 시험망은 저고도 순찰, 저고도 물류, 저고도 보안 등 6G 기반 저공경제 등 실증 시연(应用演示) 및 상업 응용 시험(商业应用试点)을 진행중이며 동남대학 및 남경우전대학과 6G 기술 검증 테스트 협의를 추진하고 있다. /과학기술일보

版权所有 ©2023 吉林朝鲜文报- 吉ICP备07004427号
中国互联网举报中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