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적으로 치실을 사용하면 뇌졸중 발생 위험을 최대 44%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대학 연구팀은 치실 사용과 뇌졸중 발생 위험 사이 관계에 대한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연구는 미국에서 진행된 대규모 조사인 <지역사회 죽상동맥경화증 위험 연구>의 일환이다. 참가자는 6,278명이며 평균년령은 62세이다.
연구팀은 이들의 치실 사용 실태, 고혈압, 당뇨, 고콜레스테롤, 흡연, 체질량지수, 교육 수준, 양치질 및 치과 방문 빈도 등을 25년간 추적 조사했다.
이 기간 뇌졸중 진단을 받은 사람은 434명이며 이중 147명은 큰 동맥 뇌혈전, 97명은 심장 유발 혈전, 95명은 작은 동맥 경화를 겪었다. 1,291명은 심방세동을 경험했다.
연구 결과 정기적으로 치실을 사용한 사람의 허혈성 뇌졸중 발생률이 치실을 사용하지 않은 사람보다 22% 더 낮았다. 나아가 심장 색전성 뇌졸중은 44%, 심방세동은 12%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흐름은 정기적인 치솔질이나 치과 방문과는 무관했으며 치실 사용 빈도가 높을수록 더 많은 감소치를 보였다.
연구팀은 “치실 사용은 염증 관련 구강 감염과 이몸질환 발생 가능성을 낮춘다.”며 “치실 사용이 뇌졸중을 예방하는 유일한 방법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실천하기 쉽고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어디서나 할 수 있는 건강한 습관”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참가자들의 자가 보고에 의존했고 뇌졸중과 심장질환에만 초점을 맞춘 연구라는 한계가 있다. 또 치실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심장 건강에 좋을 수 있는 다른 활동을 병행했을 수 있는데 이 점은 연구에 반영되지 않았다.
한편 이몸질환이 뇌혈관이나 심혈관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사실은 앞선 연구들에서 확인된 바 있다. 한국 서울대병원은 10년간 성인 397만여명을 추적 관찰한 결과 이몸질환을 앓거나 치아를 상실하면 뇌졸중 위험이 약 9~12% 높아진다는 연구를 발표했었다. 스웨리예 연구팀 역시 이몸질환자의 심혈관질환 발병 위험이 무려 49%가량 높다고 보고한 적이 있다.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