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은 총 27개의 작은 뼈들이 모여복합적인 관절을 이룬다 . 손은 그 자체가 매우 정밀한 움직임을 요구하는 부위로서 다양한 동작을 통해 여러 작업을 처리하므로 자주 움직이게 된다 .
이처럼 손은 반복적인 동작과 과도한 부담에 로출되기 쉬운데 장기간지속되는 손의 과도한 사용은 다양한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
손에 발생하는 통증은 부위별로 그질환이 다르기 때문에 통증이 지속되면 빠른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풍습성관절염
아침에 손가락이 뻣뻣하고 잘 펴지지 않으며 대칭적으로 량쪽 손의 중간마디가 아프고 붓는다면 풍습성관절염을 의심할 수 있다 . 이 질환은 면역체계가 정상적인 관절조직을 외부침입자로 오인해 공격하면서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이다 . 풍습성관절염이심해지면 손가락 관절 변형이 일어나구부리거나 펼 수 없는 상태가 될 수있다 . 초기에는 약물치료와 관리로증상이 완화되며 일상생활에 큰 어려움 없이 치료가 가능하다 .
손가락 골관절염
손가락 골관절염은 주로 나이가들면서 손가락 관절의 연골이 닳고손상되면서 발생한다 . 반복적인 손사용이나 유전적 요인에 의해서 젊은 나이에도 나타날 수 있다 . 주로손가락 끝과 두번째 마디 관절에 통증이 생기며 마디가 두꺼워진다 . 증상과 통증은 풍습성관절염과 류사하지만 연골이 마모된 부위에 국소적으로만 통증이 나타난다 . 치료는 자주 사용하는 손의 활동을 줄이고 약물치료나 물리치료 등을 통해 통증을 완화하고 관절 기능을 유지하는것이 중요하다 .
손목 건초염
손목 건초염(腱鞘炎)은 엄지손가락을 움직이거나 손목을 돌릴 때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반복적인 손목과 손가락 사용 특히 엄지손가락을자주 사용하는 경우 힘줄에 염증이생기는 것이 원인이다 . 스마트폰 사용 , 키보드 타자 , 무거운 물건을 드는 작업 등으로 손목 힘줄에 과도한스트레스가 지속적으로 쌓이면서 염증이 유발된다 .
치료의 핵심은 손목을 충분히 쉬게하는 것이다. 손목 보호기나 밴드(腕带)를 착용하면 손목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힘줄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여준다 . 특히 직업적으로 장시간 작업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된다 .
효과적인 치료 방법중 하나는 체외충격파 치료로서 인대와 힘줄 질환에효과적이다. 또 혈액순환을 증가시키고 염증을 완화하여 조직 재건 세포활성화 및 빠른 회복을 돕는다.
방아쇠수지증후군
손가락을 굽히거나 펼 때 딱딱하게끊기거나 걸리는 느낌이 나면 방아쇠수지증후군(扳机指综合征)을 의심할 수 있다. 손가락중에서도 3번째 ,4번째 그리고 엄지손가락에 통증이잘 발생한다 .
이 질환은 손가락의 힘줄과 이를감싸는 활차(滑轮 ) 사이에 마찰이발생해 힘줄이 엉키거나 걸리면서발생한다 . 통증이 심할 경우 손가락을 굽히거나 펼 때 ‘딱’ 하는 소리나저항감이 느껴지고 갑자기 손가락이풀리면서 통증이 완화되는 특징이있다 .
초기에는 손가락의 무리한 사용을줄이고 휴식을 취하면 마찰이 줄어들어 부어오른 힘줄이나 활차가 가라앉고 통로가 확장되여 증상이 개선될수 있다.
삼각섬유연골복합체
삼각섬유연골복합체(三角纤维软骨复合体)는 손목의 새끼손가락 쪽에 위치한 복합적인 구조물로 뼈 , 인대 , 힘줄, 연골이 결합된 삼각형 형태를 띠는 부위이다 . 손목이 꺾이거나 회전하는 동작에서 과도한 힘이가해지면 손상될 수 있다 .
부상후 리유 없이 지속적인 손목통증이 발생하거나 손목을 회전할 때‘뚝’ 하는 파렬음과 함께 통증이 느껴진다면 삼각섬유연골복합체 손상을의심할 수 있다 .
손목을 젖히거나 돌릴 때 통증이심해지며 바닥에 손을 짚고 일어설때 , 문고리를 돌리거나 물건을 들 때도 통증이 발생한다 . 새끼손가락 쪽손목 부위를 누르면 압통이 느껴지고부기와 함께 새끼손가락의 감각이 둔해질 수 있다 .
삼각섬유연골복합체 손상은 예기치 않게 발생할 수 있지만 손목의 유연성과 근력을 강화하는 운동을 통해예방할 수 있다 . 또한 부상이 발생한경우 즉시 얼음찜질을 하고 손목을압박붕대로 고정한 후 적절한 휴식을취하는 것이 필요하다.
손에 생기는 작은 통증이 일상에큰 불편을 줄 수 있다. 과도한 손 사용을 줄이고 개인의 상태에 맞는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손은치료에 민감한 부위이므로 통증이 개선됐다 하더라도 다시 무리하게 사용하면 재발하기 쉽다 . 평소 손 건강을위해 적절한 관리와 예방이 필요하며손을 무리하게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