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에도 가장 효률적인 때가 있다. 건강한 임신과 출산에 있어 자궁내 환경에 직접 영향을 주는 녀성의 ‘나이’가 중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한국 삼성서울병원에 따르면 30대 초반이 첫아이를 낳는 가장 적정한 시기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보다 나이가 많으면 임신성 고혈압(임신중독증), 당뇨, 전치태반 등 각종 위험이 뒤따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삼성서울병원의 연구팀은 2005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15년간 한국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토대로 첫아이를 낳아 엄마가 된 368만 5,817명을 추적 관찰했다. 연구팀은 이들 산모를 초산 나이에 따라 ▷25세 미만(15만 3,818명) ▷25세─29세(84만 5,355명) ▷30세─34세(173만 8,299명) ▷35세─39세(78만 7,530명) ▷40세─44세(15만 1,519명) ▷44세 초과(9,296명)로 나눴다.
연구에 따르면 첫아이를 출산하는 산모의 나이는 갈수록 증가했다. 고위험 임신의 기준이 되는 35세 이상 초산모는 2005년 18.15%였으나 2019년에는 38.42%로 두배 이상 많아졌다. 한국 통계청이 2005년 당시 29.09세였던 첫아이 출생 산모의 평균 나이가 2022년 32.84세로 늘어났다고 보고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이러한 경향은 40대 이상에서 두드러졌다. 40세─44세 초산모는 2005년 기준 15.96%에서 2019년 30.44%로 두배가량 늘었다. 44세 이상 초산모도 2005년 2.06%에서 2019년 7.47%로 3배 이상 증가했다. 첫아이를 낳아 엄마가 되는 시기가 늦춰지면서 그에 따른 임신합병증 위험도 덩달아 커졌다. 초산모 나이의 증가에 따라 임신성 고혈압 발생률과 제왕절개수술률도 비례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임신성 고혈압 발생률은 25세 이하에서는 2.5%였으나 44세 이상에서는 10.2%로 4배가량 높았다. 제왕절개수술률도 25세 이하에서는 29.5%였으나 44세 이상에서는 74%로 큰 차이를 보였다. 조산의 원인중 하나이면서 분만 시 대량 출혈을 일으키는 전치태반 발생 역시 25세─29세를 기준으로 비교했을 때 35세 이상에서는 두배, 40세 이상에서는 세배가량 위험도가 증가했다. 실제 조산 위험도 높았다. 25세─29세 기준으로 조산의 상대 위험도가 30세─34세에서 7% 증가했으나 ▷35세─39세 26% ▷40세─44세 55% ▷44세 이상 85%로 가파르게 상승했다. 이는 조산의 주요 원인인 다태임신을 보정한 결과다.
이번 연구에서는 초산모 나이에 따라 출생아에게 미치는 장기적인 예후도 확인됐다. 출생아의 질환별 발생 위험을 추적관찰 기간(평균수 10.4년) 동안 살펴본 결과 자페와 뇌성마비가 산모 나이에 따라 증가했다. 25세─29세를 기준으로 비교 시 자페는 40세─44세 출산에서 29%, 44세를 넘어서면 50% 이상 증가했다. 뇌성마비 역시 40세─44세 출산에서 29%, 44세 초과인 경우 54%로 위험도가 커졌다. 이를 종합해 첫번째 임신의 최적 출산 년령을 30대 초반으로 꼽고 이 시기를 넘어서면서 년령이 증가함에 따라 산모와 출생아의 위험도가 증가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산모 년령 증가에 따른 조산과 장기 예후에 대한 영향은 최근 녀성이 선택하는 란자 동결과 같은 방법만으로는 대처가 어렵다는 것을 확인한 연구”라고 말했다. 이어 “건강한 임신을 위해서는 ‘자궁내 환경’이 중요하다. 임신합병증뿐만 아니라 출생아의 장기 예후도 산모 나이와 직접적으로 관련있는 만큼 적정 시기에 맞춰 출산할 수 있도록 부부가 함께 계획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출생아의 장기 예후에 관여하는 요소에는 산모의 나이뿐 아니라 남편의 나이도 중요하다는 것은 이미 해외 연구들에서 잘 알려진 부분”이라며 “국가 빅데이터 연구임에도 남편의 나이를 같이 분석할 수 없었던 것이 이 연구에서의 아쉬운 점”이라고 부연했다.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