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마다 한두번씩 하는 강도 높은 운동이 규칙적으로 자주 하는 운동 만큼이나 인지 기능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꼴롬비아 로스안데스대학 연구팀은 메히꼬시티 주민 1만여명(평균년령 51세)의 운동 패턴과 인지 기능 저하간 관계를 16년간 추적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최근 밝혔다.
연구에는 대상자들의 1998년부터 2004년까지 운동 패턴을 조사한 설문 자료와 2015년부터 2019년까지 경도인지장애(MCI)를 측정한 자료가 리용됐다.
연구팀은 이들을 운동 패턴에 따라 ‘운동을 하지 않은 사람’(A그룹·7,945명), ‘매 주말 1~2회 운동한 사람’(B그룹·726명), ‘매주 3회 이상 규칙적으로 운동한 사람’(C그룹·1,362명), ‘주말 운동과 규칙적 운동을 병행한 사람’(D그룹·2,088명) 등으로 나눴다.
치매 고위험군을 뜻하는 MCI는 기억력이나 기타 인지 기능이 객관적인 검사에서 확인될 정도로 뚜렷하게 감퇴한 상태를 말한다. 다만 일상생활 수행 능력은 대체로 보존돼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로 MCI 여부를 측정했다. 30점 만점인 MMSE에서 22점 이하면 MCI로 분류했다.
16년간의 관찰 기간에 MCI로 확인된 사람은 2,400명이였다. 그룹별 유병률은 A그룹 26%, B그룹 14%, C그룹 18.5%였다. 나이·학력·흡연·야간 수면·식단·음주 등 잠재적 요인을 배제하고 각 운동 그룹의 MCI 위험을 운동하지 않은 A그룹과 비교했을 때 주말 운동을 한 B그룹이 25% 낮았고 규칙적 운동을 한 C그룹은 11% 낮았다. D그룹 역시 16%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관찰 연구로 인과관계에 대한 결론을 내릴 순 없다.”면서도 “중년기 최소 매주 한두번의 운동이 치매 위험을 13% 낮출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또 “운동은 신경세포의 성장과 생존을 돕는 뇌 유래 신경 영양 인자 농도와 뇌가 외부 자극에 적응하는 능력인 뇌 가소성을 높일 수 있다.”며 “신체활동은 뇌 부피, 실행 기능, 기억력 향상과 관련이 있다.”고 설명했다.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