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중소상업기업협회와 립신데이터연구원은 최근 〈2024년 2분기 중국 소비자 소비 의향 조사 데이터〉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신에너지차의 소비 열기가 지속되고 있으며 자동차 성능을 향한 소비자들의 기대가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데이터 조사 결과 하이브리드차와 순수 전기차를 포함한 신에너지차를 선택한 비중은 53.6%로 전체의 절반을 넘었는데 이는 연료차36.2%의 선택 비중보다 현저히 높은 것으로 된다.
향후 반년내 자동차 구매 계획이 있는 소비자 10.8%중 하이브리드차와 순수 전기차를 선택한 비률은 각각 39.4%, 14.2% 늘어 계속하여 확대되는 추세를 보였으며 반면 연료차를 선택한 비률은 36.2%로 집계돼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다. 립신데이터연구원 관계자는 “신에너지차, 특히 하이브리드차에 대한 소비 열기가 뜨거워지고 있고 자동차 구매 성향 결정을 주저하는 소비자 비중이 줄어들어 신에너지차의 시장 침투률이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가격대별 차량 구매 조사에서는 ‘10만—20만원’ 모델을 선호한 소비자가 절반 이상인 51.0%, ‘10만원 이하’ 모델과 ‘20만—30만원’ 모델을 선택한 소비자는 각각 20.1%, 17.7%로 집계됐다. 소비자 10명중 9명은 자동차 구매 예산이 30만원 이하인 것으로 조사됐다. 그중 10만—20만원 차종이 소비자들의 첫 선택지로 뽑혔다. 최근 자동차 시장의 가격 경쟁이 치렬해지면서 자동차의 다양한 성능이 소비자들의 구매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많은 소비자들은 자동차를 단순히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승차감, 스마트화 수준, 사회적 속성 등에 더 높은 요구 사항을 제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 상반기 자동차기업들의 신에너지차 생산과 판매량에서도 소비자들의 반응을 알 수 있다. 중국자동차공업협회의 통계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우리 나라 신어네지차 생산량은 492.9만대, 판매량은 494.4만대에 달해 지난해 동기 대비 각기 30.1%, 32% 증가했다.
6월 한달 우리 나라의 신에너지차 생산 및 판매량은 100.3만대와 104.9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각기 28.1%, 30.1% 증가했다. 6월말 기준 우리 나라 신에너지차의 루적 생산 및 판매량은 모두 3,000만대를 넘어섰다.
업계 관계자는 “여러 요인의 영향으로 기업의 경영 압력이 계속 커지면서 자동차업계 운영은 여전히 많은 압박을 받고 있다. 하반기 중고자동차 보상교환판매, 신에너지차 농촌 보급 등 정책 호재 및 자동차기업의 신차 출시에 힘입어 자동차시장의 소비 잠재력을 더욱 끌어올릴 것”이라고 밝혔다.
/신화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