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05版:생활·건강 上一版 下一版  
上一篇

아스피린, 암 전이 막는다

암환자중 저용량의 아스피린을 매일 복용하는 경우 생존률이 더 높다는 사실은 10여년전부터 확인됐다. 암세포의 전이(암세포가 원래 종양이 발생한 부위에서 다른 기관으로 퍼지는 현상) 비률이 감소하는 현상 덕이다. 하지만 아스피린이 어떻게 암 전이를 예방하는지는 알지 못했다.

그런데 아스피린이 면역체계를 자극하여 일부 암의 전이를 줄이는 기제를 과학자들이 발견해 최근 저명한 과학저널 《자연》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암이 특정 부위에서 시작되더라도 암 사망의 90%는 암이 신체의 다른 부위로 전이될 때 발생한다는 점에 주목해 전이 과정을 들여다보기로 했다.

이 기제는 암이 가장 취약한 순간 즉 원발성 종양에서 떨어져나간 단일 암세포가 몸의 다른 곳으로 퍼지려 할 때와 관련이 있다. 면역세포인 T세포라는 백혈구는 전이성 암세포가 자리잡으려 할 때 이를 파괴할 수 있다. 하지만 혈액의 다른 구성 요소인 혈소판이 T세포를 억제하여 암세포를 제거하기 어렵게 만든다는 것을 이번 연구에서 밝혀냈다.

아스피린은 혈소판의 작용을 방해하고 T세포에 대한 혈소판의 영향을 제거하여 T세포가 암세포를 사냥할 수 있도록 돕는다.

연구진은 동물실험에서 이를 우연히 발견했다.

연구진은 유방암, 피부암의 일종인 흑색종, 대장암을 포함한 다양한 암이 발생한 생쥐를 두 그룹으로 나눠 한쪽은 아스피린을 투여하고 대조군엔 처방하지 않았다. 그 결과 아스피린을 투여한 생쥐의 경우 페나 간과 같은 다른 부위로 암세포가 전이되는 비률이 낮다는 것을 발견했다. 아스피린은 혈소판에서 염증 관련 효소인 ‘사이클로옥시게나제1’을 억제하고 트롬복산A2(TXA2) 생성을 줄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아스피린이 TXA2를 감소시키자 T세포가 활성화돼 암세포가 퍼지는 것을 막는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다.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연구를 수행한 연구진은 “우리가 발견한 것은 아스피린이 전이성 암세포를 인식하고 파괴하는 면역체계의 힘을 해방시킬 수 있다는 점”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이 약이 암을 초기에 발견한 경우 가장 효과적일 것이라고 본다며 수술과 같은 치료후 암세포가 이미 퍼졌을 위험이 있을 때 면역체계가 이를 찾아내도록 돕는 데 사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구진은 “암 환자라면 아스피린을 복용할지 고민하게 될 것”이라며 “그러나 지금 당장 약방으로 달려가 아스피린을 구입하기보다는 진행중이거나 곧 시작할 림상시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스피린은 내부 출혈이나 뇌졸중과 같은 위험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위험을 균형있게 평가해야 한다. 또한 아스피린의 전이 억제 효과가 모든 암종에서 작용하는지 아니면 특정 암에만 효과가 있는지도 밝혀야 한다. 또한 동물실험에서 얻은 결과가 인간에게도 적용될지 림상시험을 통해 추가 검증해야 한다.

연구자들은 아스피린이 일부 암환자에게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며 복용전 반드시 의사와 상담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아울러 암 전이를 예방하기 위해 아스피린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림상시험이 진행중이라고 전했다. /종합

版权所有 ©2023 吉林朝鲜文报- 吉ICP备07004427号
中国互联网举报中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