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년기 건강을 위협하는 불면증을 해소하는 데는 웨이트 트레이닝(力量训练)이나 체중을 리용한 근력운동 같은 근육 강화 운동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타이 마히돌대학 연구팀은 불면증 로인 2,000여명을 대상으로 한 림상시험 24건의 분석에서 근육 강화 운동이 수면의 질 개선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수면의 질은 나이가 들면서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연구진은 로인 5명중 1명이 불면증을 앓는다며 수면의 질 저하는 다양한 건강 문제와 인지장애와 관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직장의 성과 저하와 결근 가능성도 커지게 한다고 말했다. 또 이전 연구에 따르면 운동이 불면증 완화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어떤 류형의 운동이 가장 도움이 되는지는 명확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이를 알아보기 위해 불면증 진단을 받은 60세 이상 2,045명(평균년령 70세)을 대상으로 다양한 신체운동과 일상적 활동, 수면 교육 등 비신체 활동 등의 효과를 비교한 국제적 림상시험 24건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림상시험에는 자전거 타기, 수영, 빠르게 걷기, 정원 가꾸기 등 유산소운동과 웨이트 트레이닝, 팔굽혀펴기 등 근육 강화 운동, 스텝업(提高步调)과 발끝으로 걷기 등 균형운동, 체조와 요가 등 유연성 운동, 여러 운동을 혼합한 복합운동이 포함됐다.
운동의 효과는 글로벌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全球匹兹堡睡眠质量指数, GPSQI)로 측정됐다. GPSQI는 주관적 경험과 객관적 변수 등 7개 요소의 점수(각 3점)로 수면의 질을 평가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수면의 질이 좋지 않고 5점 이상이면 심각한 수면 장애를 의미한다.
운동의 직접 효과와 간접 효과를 결합해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근육 강화 운동이 5.75점의 GPSQI 개선으로 불면증 개선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산소운동의 GPSQI 개선 효과는 3.76점이였고 근력운동과 유산소운동, 균형운동, 유연성운동을 혼합한 복합운동은 2.54점 개선 효과를 보였다.
이 밖에 비운동료법에서는 수면 교육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근육 강화 운동 만큼 효과적이지는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운동 특히 근력운동과 유산소운동이 일반적 활동보다 림상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수면의 질 향상 효과를 보였다.”며 “로인은 신체 기능이 제한돼있어 일부 운동이 어려울 수 있지만 근육 강화 운동이 로년기 불면증 해결에 가장 효과적인 운동일 수 있다.”고 말했다.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