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흑룡강성민족사무위원회의 1986년 통계 자료에 의하면 흑룡강성내에는 조선족 마을이 499개인데 62개의 현, 시에 분포되여있다. 이 모든 조선족 마을은 조선의 이주민들이 살길을 찾아 흑룡강성내 여러 지역에 정착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자료에 의하면 우리 나라 동북3성에서의 조선인 이주는 흑룡강성이 제일 늦게 이루어졌다고 한다. 20세기 초기부터 조선 이주민들은 목단강시 산하의 녕안, 해림, 동녕, 목릉, 림구, 밀산 등 현, 시에 많이 정착하였는데 이주민들은 주로 조선의 함경도 출신이였다. 그후로 조선의 이주민들이 흑룡강성의 서쪽과 북쪽으로 많이 진출하여 정착하였는데 이주민들은 주로 조선의 경상도와 전라도 출신이였다.
조선인 이주민들은 오두막을 짓고 숲이 우거진 황무지를 개간하고 하천의 물을 끌어들여 논을 일구고 부락을 세우고 학교를 꾸렸다. 당시 민간에서 다른 민족들은 조선족이 모여사는 동네를 ‘꼬리툰(高丽屯)’, 또는 ‘꼬리잉즈(高丽营子)’라고 불렀는데 조선족 마을 이름이 명명되면서부터 ‘꼬리툰’ 소리가 점차 민간에서 사라졌다.
● 밝은 미래에 대한 소망을 담아 지은 이름들
499개의 조선족 마을 이름 가운데서 같은 이름이 많은 것이 하나의 특징이다. 수적으로 많은 촌 이름을 보면 동광촌(东光村)이 10개, 신흥촌(新兴村)이 8개, 동명촌(东明村)이 7개, 광명촌(光明村)이 6개이다. 그리고 ‘신(新)’자가 붙은 촌 이름이 73개, ‘광(光)’자가 붙은 촌 이름이 62개, ‘동(东)’자가 붙은 촌 이름이 53개, ‘흥(兴)’자가 붙은 촌 이름이 52개, ‘성(星)’자가 붙은 촌 이름이 41개, ‘선(鲜)’자가 붙은 촌 이름이 34개, ‘명(明)’자가 붙은 촌 이름이 26개이다.
조선족들이 선호했던 이런 글자를 붙여 지은 마을 이름들을 보면 실로 긍정적 에너지가 넘쳐흐른다.
특히 몇몇 조선족향 산하의 조선족 촌 이름을 보면 마치도 어느 가문의 이름자 돌림 같다. 북안시 주성조선족향 산하의 조선족 촌들은 위성촌, 주성촌, 금성촌, 홍성촌, 명성촌 등 ‘성(星)’자 돌림이고 밀산시 화평조선족향은 동승촌, 동흥촌, 동명촌, 동선촌 등 ‘동(东)’자 돌림이며 해림시 신합향의 조선족 마을 이름들은 신합촌, 신승촌, 신흥촌, 신중촌, 신락촌 등 ‘신(新)’자 돌림이다.
● 협동협력해 잘살아보려는 욕망을 담아
림구현 룡조진 일심촌(一心村)은 1943년에 정착한 개척민들이 떨쳐나서 마을길을 곧게 빼고 초가집을 나란히 지어 38세대가 새집들이를 했는데 이렇게 한마음한뜻으로 뭉쳐 잘살아보려는 욕망으로 마을 이름을 ‘일심촌’이라고 지었다.
연수현 가신진 유민촌은 넉넉할 ‘유(裕)’자에 백성 ‘민(民)’자를 붙여 촌 이름을 ‘유민촌’이라 지어 잘살아보려는 마을사람들의 념원을 그대로 반영하였다.
이외에도 벌리현 길흥향 부흥촌(富兴村), 방정현 보흥향 부민촌(富民村), 연수현 가신진 부유촌(富裕村) 등이 있으며 가목사시 교외의 항심촌(恒心村), 아성시 사리향과 녕안시 화룡향 그리고 수화시 흥화향의 근로촌(勤劳村)들도 있다. 해마다 풍년을 기약하고 좀더 나은 풍요로운 생활을 위하여 ‘풍(丰)’자를 붙여 지은 마을 이름은 25개나 된다.
● 마을 이름을 개명한 사례 특별히 많아
훌륭한 이름보다 더 좋은 것은 없다는 말이 틀림없다. 살다 보면 예전에 지은 이름이나 또는 원주민들이 부르던 마을 이름이 마음에 다가오지 않거나 또는 새로운 념원을 담은 마을 이름을 부르기 위하여 촌명을 개명한 사례가 많다.
탕원현 탕왕조선족향에서는 인민공사 시기에 예전에 부르던 마을 이름들을 개명하였다. 중심촌(中心村)을 금성촌(金星村)으로, 부귀촌(富贵村)을 태양촌(太阳村)으로, 광성촌(光星村)을 홍광촌(红光村)으로, 영원촌(永远村)을 성광촌(星光村)으로, 승리촌(胜利村)을 홍기촌(红旗村)으로, 안민촌(安民村)을 동광촌(东光村)으로, 영전촌(永全村)을 오성촌(五星村)으로 개명했다.
동녕현 삼차구진 대우사구(大鸟蛇沟) 조선족 마을들은 1대, 2대, 3대로 부르다가 상툰, 중툰, 하툰으로 개명했고 다시 ‘동방흥촌’, ‘오성촌’, ‘광성촌’으로 고쳤다.
● 정착한 지역의 산하에 의해 마을 이름을 짓다
흑룡강성내의 조선족들은 목단강, 송화강, 목릉하, 해랑하, 왜긍하, 라림하, 탕원하 등 60여갈래의 크고 작은 강하(江河) 류역에 삶의 터전을 닦았다. 마을이 앉은 위치에 따라 강남촌, 강북촌, 강서촌, 강동촌, 하남촌, 하북촌, 물남촌, 수남촌 등으로 이름지어진 촌이 12개나 되였고 ‘마련하’, ‘밀강’과 같이 하천의 이름으로 명명된 마을도 있다.
산을 등지고 앉은 마을들을 보면 오하현의 령남촌, 요하현의 쌍희령촌, 상지시의 호산촌 등이다. 마을 뒤산에 다섯개의 오각별 모양의 산골짜기가 모여있다고 해서 이름지어진 해림시 ‘오성촌(五星村)’, 마을 뒤산에 홍암으로 된 절벽이 있어 지어진 녕안시의 홍암(红岩)촌 등이다.
● 형제민족과의 화합의 뜻을 담아
한족들이 집거하여 사는 향진에 하나뿐인 조선족 마을들에서는 형제민족들과 공동히 분투하고 화목하게 지내면서 자신들의 아름다운 터전을 가꾸기 위하여 마을 이름을 ‘우의촌’, ‘우호촌’ 등으로 지었는데 그들로는 할빈시 군력향 우의촌과 민주향의 우의촌, 그리고 녕안시 평안향의 우의촌과 범가향의 우호촌 등이다. 수십년 세월을 함께 해오면서 평등, 단결, 호조하는 관계를 수립하고 번영과 부유의 길로 달려가고 있으며 모두들 호형호제하면서 지낸다.
성내의 모든 조선족 마을들은 여러 민족들과 서로 도우며 민족단결의 꽃을 피워가고 있다. 의란현 영란향의 조선족 마을인 북신촌에서는 1952년 7월에 한족 마을인 육림촌이 큰 홍수로 많은 피해를 입자 큰물에 집이 허물어진 육림촌의 30여호 농가의 살림집을 지어주었고 300여무의 비옥한 토지를 육림촌에 무상으로 넘겨주었다. 지금도 두 마을은 친형제처럼 사이좋게 지내고 있다. 이처럼 사람들을 감동시키는 민족단결의 아름다운 이야기는 많고도 많다.
● 력사유적지나 항일투사의 이름으로 명명
녕안시 발해진 상경촌(上京村), 해림시 장정진 고성촌(古城村), 철려현 년풍조선족향의 운산촌(云山村) 등은 력사유적지에 근거해 지어진 이름이고 녕안시 와룡향 영산촌(英山村)은 항일투사 박영산의 이름으로 명명한 것이다.
● 원 마을 이름 그대로 사용한 것도 있어
적지 않은 조선인 이주민들이 처음에는 한족 마을에 정착하여 그들과 함께 삶의 터전을 닦아오면서 부지런히 황무지를 개간하여 논을 일구었다. 수전 면적을 많이 늘이다 보니 벼농사를 지으려는 조선족들이 점차적으로 많이 이주하여 오게 되였다. 나중에 조선족 주거민이 많아지면서 조선족 마을로 된 사례가 적지 않다. 녕안시 발해진 향수촌(响水村)이 그 례다.
목단강 상류에 자리잡은 향수촌은 300여년의 력사를 품은 마을로서 마을 이름도 ‘상수(想水)’에서 ‘향수(响水)’로 바뀌였다. ‘향수입쌀’은 흑룡강성의 명브랜드이며 향수촌은 목단강시에서 유일한 ‘벼일품촌(水稻一品村)’이다.
해림시 신안조선족진의 삼가자촌(三家子村)은 처음 이곳에서 마(马), 관(关), 복(卜)씨 성을 가진 한족 3세대가 살았다고 하여 삼가자라고 불리웠다. 후에 수전농사를 하려고 많은 조선족들이 이주하여 와서 나중에 조선족 마을로 되였는데 지금도 계속하여 삼가자촌이라고 부른다.
의란현 영란조선족향의 오가촌(吴家村)은 한족 오씨네가 모여 살던 마을이였는데 벼농사를 지으려고 이주하여온 조선족이 많아지면서 조선족 마을로 되였다. 지금도 이 마을의 조서족, 한족들은 화목하게 지내고 있다.
● 조선족 마을임을 보여주기 위하여 ‘선(鲜)’자를 붙이다
“《연수현 조선족 백년사》에 연평향 평선촌은 연평향이란 ‘평(平)’자에 조선족 마을이란 ‘선(鲜)’자를 붙여 지은 이름이다.”라고 기록되여있다.
이외에도 다른 소수민족 마을이 없는 현, 시에서 ‘민족촌’이라고 지은 마을은 조선족 마을임을 뜻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경안현과 수중현의 ‘민족촌’의 경우다. 그리고 손극현에서는 전 현에 하나 밖에 없는 조선족 마을 이름을 ‘조선족촌’이라고 명명하였다.
● 옛 고향의 지명을 그대로 차용한 사례도
상지시 어지향 초산촌에 처음 삶의 터전을 잡은 사람들은 조선의 초산군에서 이주하여온 사람들로서 고향을 못 잊어 촌의 이름을 초산촌(楚山村)이라고 명명하였다. 어지향의 창평촌도 원 조선의 고향 지명 창평(昌平)으로 지은 이름이다.
/흑룡강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