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기자: [
리미연
] 원고래원: [
신화사
] 발표시간: [
2015-12-29 14:09:03
] 클릭: [ ] |
한국외교부 윤병세장관은 28일 서울에서 일본외무성 기시다 후미오 대신을 만나 《위안부》문제와 관련해 회담을 진행하고 합의를 달성했다. 윤병세장관은 일본측이 약속을 성실히 리행한다면 한국측은 《위안부》문제를 종결할것이라고 말했다.
알려진데 따르면 쌍방은 이날 관련 협의에 서명하지 않았으며 회담후 공동기자회견을 통해 구두로 구체적인 내용을 공표했다.
기시다 외무대신은 회담후 공동기자회견에서 발표문을 통해 《〈위안부〉문제는 당시 군의 관여하에 다수 녀성의 명예와 존엄에 깊은 상처를 입힌 문제로서 이러한 관점에서 일본정부는 책임을 통감한다》고 밝혔다.
그는 또 《아베 내각총리대신은 일본국 내각총리대신으로서 많은 고통을 겪고 심신에 거쳐 치유하기 어려운 상처를 입은 모든분들에 대해 마음으로부터의 사죄와 반성의 마음을 표명한다》면서 아베총리의 사죄내용을 전했다.
윤병세장관은 량국 외교장관은 회담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지원을 위한 재단을 한국정부가 설립하고 일본측에서 재단에 10억엔(약 830만딸라)을 출연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그외 일본측이 요구해온 한국 주재 일본대사관앞 소녀상문제에 대해서는 《한국정부로서도 가능한 대응방향에 대해 관련 단체와의 협의를 통해 적절히 해결되도록 노력할것》이라고 밝혔다.
한국 여론은 이는 일본측이 처음으로 《위안부》문제에서의 책임을 승인한것이라고 인정했다. 하지만 일본측이 언급한 《책임》은 법률적인 의미에서의 책임인지 아니면 도의상의 책임인지는 명확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날 한국외교부 청사앞에는 항의시위에 참가하러 오는 시민단체들의 발길이 끊기지 않았다. 일부 민중들은 한국정부가 한일군사동맹을 강화하기 위해 서뿔리 《위안부》문제를 협상한다고 비판했으며 《위안부》문제 해결에서 취하는 일본정부의 소극적인 태도를 비난했다. 그외 일부 민중들은 일본정부가 《위안부》문제외에 식민지통치시기 조선반도에서의 강제징용 등 문제와 관련해서도 진정어린 사과와 확실한 해결방안을 내놓을것을 요구했다.
이전기사: 한국, 메르스 종식 정식 선고
다음기사: 한국 메르스사태가 가져다준 교훈